[사설]이재명표 ‘민주주의·통합’ 담긴 현충일 추념사, 국정으로 꿰어가길
페이지 정보
작성자 또또링 작성일25-06-11 08:15 조회5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이재명 대통령이 6일 현충일 70주년 추념식에서 “국난 앞에서 나보다 우리가 먼저였던 것이 대한민국의 저력”이라며 “국가와 공동체를 위한 헌신과 희생이 합당한 보상으로 돌아오는 나라가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보훈은 희생과 헌신에 대한 최소한의 예우이자 국가가 마땅히 해야 할 의무”라고도 했다. 대통령 취임 후 첫 국가기념일 행사에서 ‘통합·민주주의’ 가치가 중심이 된 보훈 정책을 펴겠다고 한 것이다.
추념식엔 해군 해상초계기 추락사고로 순직한 장병들의 유가족, 제주 서귀포 감귤창고 화재로 순직한 고 임성철 소방장의 유족이 이 대통령 곁에 있었다. 오열하는 유족들 손을 잡고 위로한 이 대통령은 추념사에서 순직 장병들과 임 소방장을 호명하며 “모두를 위한 헌신이 그 어떤 것 보다 영예로워야 한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국가유공자와 유가족에 대한 예우를 더 높고 두텁게 하겠다”며 생계 지원금 지급 대상을 참전유공자에서 배우자까지 넓히고, 보훈병원이 없는 지역에 지역 공공병원을 활용해 보훈의료 접근성을 확대하는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약속했다. 국민연금 ‘군 복무 크레딧’을 군 복무기간 전체로 확대하고 보훈급여금 보상 체계를 확대하는 공약도 내놓았다. 국가와 공동체를 위해 희생한 이들에 대한 정당한 보상으로 사회 안정과 통합을 강화하겠다는 의지이자 보훈을 특정 이념의 전유물로 다룬 보수정권들의 전철을 밟지 않겠다는 다짐인 셈이다. 전직 대통령 윤석열은 재임 3년 동안 현충일 추념식을 군사 긴장 고조, 이념 편가르기 장으로 활용했다.
이 대통령이 ‘제복입은 시민 예우’를 언급하며 국난을 막는데 역할을 한 일선 군인과 경찰들을 되짚은 것도 눈에 띈다. 보훈을 매개로, 12·3 내란에 가담하지 않고 불법 명령을 거부한 군·경의 시민정신을 환기하면서 ‘국민을 버리지 않는 국가’의 역할을 강조한 것이다.
국난의 역사에서 헌신한 이들을 기억 못하고 계승하지 않는 공동체엔 통합도 미래도 있을 수 없다. 이런 희생에 대한 정당한 예우와 지원을 다하는 것이 정의로운 보훈이다. ‘민주주의·통합’을 새긴 현충일 추념사가 이재명 정부 국정으로 뿌리내리길 바란다.
추념식엔 해군 해상초계기 추락사고로 순직한 장병들의 유가족, 제주 서귀포 감귤창고 화재로 순직한 고 임성철 소방장의 유족이 이 대통령 곁에 있었다. 오열하는 유족들 손을 잡고 위로한 이 대통령은 추념사에서 순직 장병들과 임 소방장을 호명하며 “모두를 위한 헌신이 그 어떤 것 보다 영예로워야 한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국가유공자와 유가족에 대한 예우를 더 높고 두텁게 하겠다”며 생계 지원금 지급 대상을 참전유공자에서 배우자까지 넓히고, 보훈병원이 없는 지역에 지역 공공병원을 활용해 보훈의료 접근성을 확대하는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약속했다. 국민연금 ‘군 복무 크레딧’을 군 복무기간 전체로 확대하고 보훈급여금 보상 체계를 확대하는 공약도 내놓았다. 국가와 공동체를 위해 희생한 이들에 대한 정당한 보상으로 사회 안정과 통합을 강화하겠다는 의지이자 보훈을 특정 이념의 전유물로 다룬 보수정권들의 전철을 밟지 않겠다는 다짐인 셈이다. 전직 대통령 윤석열은 재임 3년 동안 현충일 추념식을 군사 긴장 고조, 이념 편가르기 장으로 활용했다.
이 대통령이 ‘제복입은 시민 예우’를 언급하며 국난을 막는데 역할을 한 일선 군인과 경찰들을 되짚은 것도 눈에 띈다. 보훈을 매개로, 12·3 내란에 가담하지 않고 불법 명령을 거부한 군·경의 시민정신을 환기하면서 ‘국민을 버리지 않는 국가’의 역할을 강조한 것이다.
국난의 역사에서 헌신한 이들을 기억 못하고 계승하지 않는 공동체엔 통합도 미래도 있을 수 없다. 이런 희생에 대한 정당한 예우와 지원을 다하는 것이 정의로운 보훈이다. ‘민주주의·통합’을 새긴 현충일 추념사가 이재명 정부 국정으로 뿌리내리길 바란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